본문 바로가기
▶ [GI] 소화기내과/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질환

용종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by 널스여니 2020. 5. 25.
반응형

용종의 종류

 

1. 용종이란
용종이란 점막 표면으로부터 장관 내강으로 돌출된 경계가 선명한 비정상적인 융기 즉, 돌출된 병소를 말합니다.
용종은 성인의 3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크기가 1-2mm부터 10cm 이상까지로 다양하며 단일 병소 혹은 다발성으로 발견됩니다.
용종은 대부분 대장, 직장에 걸쳐 발생하나 특히 좌측 대장, S결장, 직장에서 더 흔히 발견됩니다.
형태학적으로 줄기(경)의 유무에 따라 유경성 및 무경성으로 분류하고, 병리학적으로 과형성성 용종, 선종성 용종과 비 신생물성 과오종으로 분류합니다.

 

2. 용종의 분류
- 용종의 Yamada분류
가장 기본적인 분류법으로 용종 단면상의 형태에 따라 분류합니다.

 

 


1형: 융기의 기시부가 매끄럽고, 명확한 경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2형: 기시부에 명확한 경계선은 있으나 가운데의 죄어짐이 없다.
3형: 기시부에 가운데의 죄어짐을 형성하고 있으나 줄기가 없다.
4형: 줄기가 형성되어 있다.


 

- 용종의 Kudo분류
1) 융기형(protruded type) : 병변의 높이가 직경의 반을 넘는 경우를 의미함.


 

 


(a) 유경형(Ip): 용종에 목이 있다.
(b) 아유경형(Ips): 목은 없지만 잘록하다.
(c) 무경형(Is): 목도 없고 잘록하지도 않다.

 

 

2) 표면 융기형(flat elevated type)& 평탄형( flat type) : 병변의 높이가 직경의 1/2이 안 되는 경우를 의미함.

 

 

(a) 평탄 융기형(IIa)
(b) 평탄 함몰형(IIa+depression)
(c) 평탄형(IIb)
(d) 측방 발육형 종양(LST): 크기가 1cm이상인 평탄형 종양을 말한다.

 

3) 함몰형(depressed type): 주위에 비해 뚜렷하게 함몰되어 있는 병변(IIc)이며, 평탄-융기형(IIa)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에 따라 IIa+IIc 또는 IIc+IIa로 구분됩니다.

 

 

 

(a) 함몰형(IIc)
(b) IIa+IIc

 

 

 

 

- 용종의 monaco분류
용종의 수에 따라 분류한 것입니다.
1) 단발성 용종: 1개의 용종
2) 산발성 용종: 2~10개 정도의 용종이 산재성으로 보이는 것
3) 국한성 용종증: 10~50개 정도의 용종이 국재성으로 밀집되어 존재하는 것
4) 미만성 용종증: 위 전체에 걸쳐 50개 이상의 용종이 미만성으로 보이는 것

 

 

- 용종의 조직학적 분류
1. 선종성 용종
대장용종은 대장암의 전구 병변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모든 용종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선종성 용종은 대장암의 전구병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종성 용종은 현미경으로 보이는 모습에 따라 관상선종, 융모상 선종, 관상 융모상 선종, 톱니 모양 선종으로 분류하는데 각 종류에 따라 암 연관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선종은 전체 용종의 70%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용종을 Bx 하여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관상선종: 유경성 또는 무경성으로 정상에서 약간 발적을 보이는 매끈한 분엽성상이다.

 

 

 

2) 융모상 선종: 무경성으로 주로 3cm 이상이며 결절상, 수지상 돌기, 미만성 및 관상 성상이 있습니다.

 

 

 

3) 관상 융모상: 유경성 또는 무경성으로 표면은 발적이 되어있으며 성상은 결절상, 분 엽상입니다.

 

 

 

 

2. 비선종성 용종
비선종성 용종은 대장용종의 30%를 차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증식성 용종, 염증성 용종, 과오종 등이 속해있습니다. 대장암과의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절제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육안적으로 선종성 용종과 비선종성 용종이 항상 구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대장용종이 발견되면 Bx 하여 조직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