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I] 소화기내과65

담즙 배액 PTBD와 PTGBD란 무엇일까, 정의, 적응증, 차이점 알아보기 PTBD와 PTGBD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경피적 간담관 배액술 percutaneous 피부를 통해서 시술한다 transhepatic 간을 경유해서 biliary 담즙(담관에서) drainage 배액한다 -> 피부에서 간을 경유해서 담즙을 배액한다 1. PTBD 적응증 보통 PTBD는 간에서 소장으로 담즙을 이동시키는 담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 담도와 담석증 - 담도 내에 폐쇄성 질환의 경우 담즙의 배출 이상으로 황달 및 담도염의 우려가 있을 때 - 수술 전 일시적 감압 - 악성 진행형 협착 2. 담즙이란 무엇일까? 간에서는 신체의 에너지 관리, 해독 작용, 호르몬 분해와 대사, 면역력 증진, 살균작용, 쓸개즙(담즙).. 2021. 12. 8.
위장관 기질종양(GIST, 기스트)란? GIST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법 알아보기 GI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1. 정의 위장관 벽의 근육층에 위치한 카할세포(근육의 수축•이완을 조절하는 세포)가 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희귀종양입니다. 점막하층이나 근육층에 경계가 뚜렷한 종괴를 형성하며, 양성 종양부터 중간 악성, 악성 종양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전이가 없는 경우에도 악성일 수 있어 원발 부위, 크기, 세포 분열 수에 따라 악성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2. 발생 장소 식도에서 직장까지 위장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위(60~70%), 소장(20~30%), 대장(5%), 식도 및 복막 순의 빈도를 보입니다.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분열 정도가 심할수록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인 경우는 대부.. 2021. 8. 15.
식도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 아칼라지아), POEM에 대해 알아보기 식도 이완불능증(esophageal achalasia, 아칼라지아) 1. 정의 식도와 위 사이에 있는 식도괄약근은 식도를 감싸고 있으면서 위에 있는 음식물과 위산이 식도로 다시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식도이완불능증은 식도괄약근과 식도 하부 2/3에 있는 신경세포에 이상이 있어 식도의 연동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식도에서 위로 음식물을 넘기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2. 원인 하부식도 괄약근을 담당하는 신경절 손상이 원인이지만 아직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지는 못합니다. 자가면역이나 바이러스 감염, 퇴행성 신경질환 등이 해당 질환 발생에 관여한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3. 증상 식도이완불능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물을 포함한 유동식이나 고형식의 연하(삼킴) 곤란입니다. 연하(삼킴) 곤란은 .. 2020. 12. 28.
미란성 식도염과 비미란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보기(LA 분류법 알아보기) 미란성 식도염VS 비미란성 식도염 위식도 역류질환(GERD)은 미란성식도염(erosive esophagitis, EE)과 비미란성 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NERD)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EE는 내시경적으로 원위부 식도 점막의 육안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이며, NERD는 내시경검사에서 식도 점막의 육안적인 손상이 없으면서 전형적인 불편한 역류 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1. 미란성 식도염 (Erosive esophagitis, EE) 미란성 식도염(EE)은 내시경적 진단에 따른 Los Angeles(LA) 분류에서 제시한 특징적인 점막 결손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미란성 역류질환( erosive reflux disease) 및 역류성 식도염( reflux .. 2020. 12. 27.
시술 종류에 따른 지혈술 알아보기 시술 종류에 따른 지혈술 1. 조직 생검 후의 출혈 생검에 의한 출혈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멈추지만, 혈액응고 인자나 혈소판수의 저하, 아스피린, 항응고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혈액투석중인 환자에서 주의해야 한다. 생검후 출혈이 관찰될 경우 세척을 반복하여 지혈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금씩 흐르는 듯한 출혈일 경우는 기다리면 대부분 지혈 되지만, 지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1:10,000 에피네프린(N/S 50+보스민5cc)을 주사하거나 전기 소작, 지혈 클립 등을 이용하여 지연 출혈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 용종 제거술 후 출혈 일반적인 출혈 발생률은 0.2∼3%로 보고 되고 있으며 즉각적인 출혈은 평균 8일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절제 시 부적절한 응고에 의한다. 지연 출혈은 .. 2020.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