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본간호학

산소요법의 종류 및 합병증 ( 비강캐뉼라, 단순안면마스크, 부분재호흡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 벤츄리 마스크)

by 널스여니 2020. 11. 7.
반응형

산소요법의 종류 및 합병증


1. 산소요법
- 산소요법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혈액 중의 산소 농도가 저하된 경우(저산소혈증)에 기도로 흡입하는 산소 농도를 높임으로써 혈액 중의 산소 농도를 정상화하여 조직 내 산소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 목적
산소 요법의 목적은 유해한 부작용이 야기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흡기산소분율(fraction of inspired oxygen, FiO₂)을 사용하여 적절한 혈중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 적용
① 산소흡입능력의 감소
- 폐의 변화로 폐포 저환기가 발생하여 1회환기량 및 산소 흡입량이 감소된 경우
- 산소가 폐포에서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으로 이동하기까지의 확산 기능 장애
- 무기폐(atelectasis)
- 통증 등으로 인해 호흡이 억제되어 산소흡입농도가 감소된 경우

② 산소운반능력의 감소
- 쇼크 및 순환부전에 의한 조직 내 산소 운반 능력의 감소
- 빈혈(헤모글로빈 저하)에 의한 조직 내 산소운반능력의 감소
- 폐내 단락(intrapulmonary shunt), 심실중격 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등으로 동정맥의 단락이 형성되어 조직 내 산소운반능력이 감소된 경우

③ 신진대사율의 증가
-고열과 수술 등으로 대사가 증가하여 산소 소비량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
 

2. 적응증
▶ 단기 산소요법
- 급성 저산소혈증(PaO₂<60mmHg, SaO₂<90%)
- 심폐정지
- 저혈압
- 심박출량 저하
- 대사성 산증
- 호흡곤란
→ 효과 : 산소를 투여함으로써 폐포에서의 산소분압이 높아지고, 폐포의 산소압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호흡 일이 줄어들며, 동맥혈 산소분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심근부담 감소

▶ 장기 산소요법
-COPD
 

3. 산소투여방법

★ 저유량법
- 장점: 저렴하고 사용하기 쉽고 대체로 편안함
- 단점: 실제로 전달되는 산소량이 일정하지 않고 대상자의 호흡양상에 달려있음. 산소가 실내공기로 희석되어(21%산소) 낮은 농도의 산소가 투여된다.

< 비강 캐뉼라 nasal cannula >
① 특징
-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24-45%)를 1-6L/분의 속도로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 간편하고 식사나 대화가 자유롭기 때문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② 방법
- 대상자에게 시행절차를 설명하고 산소를 이용할 때의 안전예방책을 설명한다.
- 산소는 발화 보조 물질이므로 화재예방을 위해 금연 등에 대해 설명한다.
- 가습용기에 증류수를 정해진 눈금까지 채워준 후 잘 닫고 산소장치에 연결관을 연결한다.
- 연결관에 비강캐뉼러를 연결
- 처방된대로 유속을 조절
- 이때 유속계의 눈금은 ball에 중앙에 맞추고 ball과 눈높이가 수평이 되게 한다. 산소가 비강캐뉼러(prong)밖으로 흐르는지 확인한다.
(보통 2~6L/분의 속도로 주입하면 28~44%의 산소농도를 유지, 6L/분 이상은 호흡기 점막을 손상)
- 대상자의 비공(nostril)에 prong을 삽입한다.
- 필요하다면 튜브 밑의 귀 부분에 거즈패드를 사용. 패드는 자극과 압박을 주여 피부를 보호한다.
- 대상자에게 입을 다물게 하고 코를 통해 호흡하도록 격려한다.
 
③ 간호
- 장시간의 사용으로 구강 및 비강 점막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가습기의 물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 장기적으로 캐뉼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압박받는 부위에 작은 거즈를 대어 보호한다.
- 정기적으로 캐뉼러를 빼내어 캐뉼러 구멍을 청결히 하고 구강 및 비강 내를 관리한다.


< 단순안면마스크 simple face mask >
① 특징
- 35~60%이상의 산소농도, 6~10L/분 이상의 산소투여에 효과적이다.
- 비강 및 구강의 건조를 일으키지 않는다.
- CO₂가 축적되기 쉽다.
- 안면에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 시 불쾌감을 주며 식사나 대화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불편하다.
- 단시간에 많은 양의 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적합하다.
- 고온과 밀폐로 인하여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② 방법
- 대상자에게 시행절차를 설명하고 산소를 사용할 때 필요한 안전예방책을 설명한다.
- 증류수를 채운 산소유량계를 산소장치에 부착시키고 산소장치에 안면마스크를 연결한다. 처방된 속도로 산소의 공급을 시작한다.
- 마스크가 대상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한다. 마스크가 얼굴에 편안할 뿐만 아니라 새는 곳도 없이 꼭 맞게 고정되게 하기 위해 탄력적인 끈으로 마스크를 조절한다.
- 대상자의 귀와 두피의 자극을 경감시키기 위해 필요하면 거즈패드를 사용한다.
 
< 부분 재호흡 마스크 Partial rebreather mask >
① 특징
- 산소마스크에 reservior bag을 달아 환자가 내뱉는 송기의 1/3을 재호흡하여 흡입 공기의 산소농도(FiO₂)를 상승시킨다.
- 양방향 밸브, 저장백이 있으나 덮개(flap) 없는 마스크이다.
- 대상자는 내쉰 공기와 산소가 산소주머니 속에서 섞여진 공기를 재호흡하게 되며, 흡기 때 보유주머니에서 공기가 완전히 빠지면 안 된다.
- 35~65%, 6~10L/분의 고농도 산소 투여에 적합하다.
- 저유량에서는 역으로 CO₂의 축적이 일어난다.
- 식사나 대화는 용이하지 않다.
- Bag이 꺾이는 경우가 많다.
 
②방법
-reservior mask에 연결튜브와 산소유량계를 연결한다.
-유량계의 가습기에는 멸균 증류수를 규정량까지 충분히 넣어둔다.

※주의사항
- reservior mask는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기 때문에 기도내의 건조에 충분히 주의를 해야한다.
- reservior mask 내에 충분히 산소를 채운 후에 필요한 산소량을 설정하고 주변으로부터 산소 누출이 없도록 마스크를 착용한다.
- 흡입시에 reservior bag이 충분히 부풀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 reservior mask가 뒤틀려있으면 산소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 비재호흡 마스크 Non-rebreather mask >
① 특징
- 마스크와 reservior bag의 사이에 비 재호흡식 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환자가 내뱉는 공기는 마스크 안에 유입되지 않는다.
- 일방향 밸브, 호기 출구 위 2개의 덮개
- 인공호흡기를 제외하면 95-100%, 8~10L/분 이상의 가장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수 있다.
- 호흡상태가 악화되어 삽관이 필요한 환자에게 주로 사용
- 매 호흡 시 판막과 덮개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흡입동안 주머니의 부풀림을 유지하기 위해 유통 속도를 충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시킨다.
 
②방법: 부분 재호흡식 마스크에 준한다.
 
 
 
★ 고유량법
- 일정하고 정확한 산소농도를 전달할 수 있다.
- 고유통체계는 8~15L/분의 유통속도로 24~100%의 산소농도를 제공한다.
 
< 벤츄리마스크 venturi mask >
① 특징
- 24~60%까지 다양한 종류의 산소농도설정이 가능하다.
- 공기와 혼합함으로써 정확한 유량의 산소투여가 가능하다.(4~8L/분)
- 단순산소마스크뿐만 아니라 기관절개구에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정확한 산소농도를 전달하므로 만성폐질환 대상자에게 가장 좋다.

② 방법
-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산소농도의 벤튜리관을 선택한다. (벤튜리관은 산소농도에 따라 색으로 분류되어 있거나 조절할 수 있도록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 산소마스크의 연결부에 지정된 벤튜리관을 연결한다.
- 연결튜브(가습할 때에는 호스관, jet nebulizer 또는 가습기를 연결), 유량계를 연결하고 배관수에 꽂아 넣는다.
- 가습기에 멸균증류수를 규정량까지 넣어 온도를 설정(35~37°C)한다.


 
< 산소 텐트법 >
①특징
- 주로 소아에게 사용되며 정확한 산소농도의 유지가 어렵다.
- 텐트는 환자의 머리와 흉곽이 텐트 내에 있도록 하기 위해 침대 가장 높은 부분에 고정
- 산소텐트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어 산소의 확산이나 공기유통이 불가능
- 텐트 내의 산소농도는 보통 50~60%, 온도는 20~21°C가 적절하며, 규칙적으로 텐트내의 산소농도를 측정
- 산소텐트 내의 환자는 흔히 격리된 느낌을 갖게 되므로 정서적 지지가 필요
 
② 주의사항
-산소를 사용하고 있는 방에서의 화기와 전기기구사용은 인화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산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경고판을 걸어두어 눈에 뛰도록 한다.
-산소텐트의 사용에 대해서는 보관과 산소가스점검 및 사용 시의 주의사항 등을 취급에 주의해야한다.
 

4. 산소요법의 합병증
▶ 산소독성 Oxygen toxicity
: 산소독성은 산소 농도, 지속 기간, 산소요법 전의 폐질환 정도 등과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50%이상의 산소를 24~48시간 이상 계속해서 투여하면 폐의 손상을 줄 수 있다.
산소독성이 심각한 일이기도 하지만 저산소증을 치료하지 않거나 부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은 생명에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① 증상: 급성 호흡장애증후군(acute respiratiry distress syndrome, ARDS)과 유사
- 초기: 가래가 없는(nonproductive) 기침, 흉골 아래의 흉통, 위장관 불편, 호흡곤란
고농도 산소 계속 노출: 폐활량의 감소, 호흡곤란 심화, 순응도(compliance) 감소, 악설음(crackles), 저산소혈증
- 고농도 장기간 노출: 폐조직 손상으로 무기폐, 폐부종, 출혈, 유리질막(hyaline membrane) 형성
 
② 예방
: 치료가 어려우므로 예방이 우선이다. 산화를 유지하면서 산소독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의 산소농도를 처방하여야 한다. 동맥혈가스를 면밀히 관찰하여 PaO₂의 수준이 90mmHg 이상이면 의사에게 보고하여야한다. 고위험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해 처방된 산소농도와 투여시간을 모니터하며 꼭 필요하지 않는 한 고농도의 산소는 피해야한다.
 
▶ 흡수성 무기폐 Absorption atelectasis
: 공기 중의 질소(nitrogen)는 정상적으로 기도와 폐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질소를 실내공기의 79%로 상승시키면 폐포 허탈을 방지한다. 고농도의 산소가 투여되면 질소는 희석되고, 산소는 폐포에서 폐순환으로 확산되며, 폐포는 허탈된다. 허탈된 폐포는 무기폐를 초래하는데 이를 흡수성 무기폐라고 하며, 청진으로 이를 발견할 수 있다. 간호사는 산소요법 시 1~2시간마다 악설음이 들리는지 호흡음이 감소하는 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 점막의 건조
: 산소는 기도로 전달될 때 매우 건조하므로 호흡기 점막의 건조와 자극 섬모운동의 손상, 분비물의 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여할 때는 항상 물에 통과시켜서 습화해야 한다. 산소유량(oxygen flow rate)이 4L/분 이상 필요하면 공급체계에 습기를 추가해야한다. 산소가 가습기 내의 물을 통과하여 공기방울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한다.
대상자가 적절하게 기습된 산소를 공급받도록 가습기에 충분한 양의 멸균된 물이 필요하고, 유량은 적절해야 한다. 종종 인공기도 연결 시에 응결이 형성된다, 관을 빼고 물을 비워서 이 응결을 제거한다. 수위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가습기를 교환한다.
 
▶ 감염
: 산소투여 시 오염된 기구를 사용하면 감염된다. 농녹균(pseudomonas aeruginosa) 같은 균들은 화학소독제에서도 자랄 수 있다. 감염을 막기 위해 기구는 완전하게 소독해야 하며 대상자를 간호하는 모든 사람은 무균법을 써야 한다. 양압산소기구는 특히 오염이 잘 된다. 이들 기구는 사용하고 난 후 매일 바꾸도록 한다.
 
▶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 미숙아가 고농도 산소에 노출되면 망막혈관의 증식, 안구 내 출혈, 망막부종 및 박리, 후수정체의 섬유막형성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