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I] 소화기내과/간, 담낭, 췌장 질환

EST(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란 무엇일까

by 널스여니 2020. 5. 15.
반응형

EST(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

 

EST (Endoscopic sphincterotomy)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

 

 

 
1. 정의
EST란,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말하는 것으로, ERCP 진단검사에 대한 연장선으로 개발된 중재법입니다.
십이지장 벽 내에 경직된 유두괄약근 하부 총담관을 papillotome을 이용하여 절개하는 시술로서, 초기에 내시경적 유두 절개술( Endoscopic papillotomy, EPT)라고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유두 협착증 시 내시경적 경비적 담즙 제거술( ENBD)과 내시경적 역행성 담즙 배액술(ERBD)과 같은 중재적 시술을 접근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시술입니다.
EST 도입 초기에는 주로 담낭절제술 후 잔류되어 있는 담관 담석의 제거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점차 그 적응증이 매우 넓어져 담도배액관의 삽입, 담관 협착 확장술, 담관암의 조직생검, 유두 협착이나 oddi 괄약근 기능 이상의 치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 적응증
• 양성, 악성에 의한 유두 협착과 담관 폐색
• 담관 결석 제거
• 담석성 췌장염 치료
• 담관 또는 췌관의 생검과 세포진 검사

 

 

3. 금기증
• prothrombin time 15sec 이상
• 급성 췌장염
• 총담관 원위부의 협착이 3cm 이상인 경우
• 유두부 주위의 게실 및 3cm 이상의 거대결석이 있는 경우
• 간내 결석 환자
• aspirin, 항혈전제 등 혈액응고를 방해하는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경우에 따라 시행)

 

 

4. 합병증
• 담관 천공, 출혈, 췌장염, 담낭염, 담관염 등
• 유두의 재협착 가능성

 

 

5. 시술과정
1) 우선적으로 ERCP를 시행하여 유두부의 국소적인 해부학을 먼저 파악 후, 절개 여부와 절개 방법 등을 계획합니다.

2) 유두부에 내시경을 위치시킨 후 papillotome삽입 ( 절개도의 1/3만 유두 내에 위치)

3) 조영제를 삽입하여 절개 부위에 위치하였는지를 확인

4) ERBE mode를 확인하고 plate 접지 여부를 확인한 후 active cord를 연결

5) 전류를 1-2초 정도로 짧게 주면서 절개 시행( B duct: 11시/ P duct: 2시) 절개 속도가 빠르거나 절개도의 긴장이 강할 경우 천공이나 출혈이 잘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
coagulation이 너무 길면 췌관 폐쇄를 유발할 수 있어 췌장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