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2

대장내시경의 절차, 방법 알아보기 대장 내시경 CFS( Colonoscopy) 항문으로 내시경을 삽입하여, 대장 내부 및 대장과 인접한 소장의 말단 부위까지를 관찰하는 검사법입니다. 1. 적응증 40~50대 이후 대장암의 선별검사, 위장관 출혈 또는 대변 잠혈 검사 시 양성, 출혈을 의심하게 되는 짜장과 유사한 검은색 대변, 철 결핍설 빈혈( 출혈이 흔한 원인), 원인이 불분명한 대변 습관의 변화, 설명되지 않는 변비나 지속적인 설사, 체중 감소를 동반한 복부 증상, 대장에 발생하는 종양이나 암 등이 의심스러운 경우, 대장 용종이 의심될 때, 가족 중에 대장/직장 종양 등의 환자가 있는 경우, 대장 조영술이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에서 이상 소견, 과거에 대장 용종이나 대장암이 있단 경우,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증상 시 또는 정기.. 2020. 5. 11.
위내시경의 절차, 방법 알아보기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EGD (Esophao Gastro Duodenoscopy) 내시경을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1. 적응증 상복부 통증, 식도 역류 증상, 위산이나 담즙 등이 식도로 역류하여 속 쓰림 등의 통증을 나타내는 질환, 연하곤란 및 연하통, 위암의 선별검사, 위장관 출혈, 조직이나 장액의 채취, 부식성 물질 섭취 후 급성 손상의 정도 파악, 추적이 필요한 병변이 있을 경우 내시경 검사를 합니다. 2. 검사 전 간호 1) 8시간 동안 금식하도록 교육합니다.( 폐흡인 예방을 위해) 2) 동의서를 받습니다. 3) 의치, 장신구를 제거합니다. 4) 진정 내시경일 경우 복용하고 있는 약, 녹내장, 전립선 .. 2020. 5. 10.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 (PTCS) 시술방법 알아보기 PTCS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1. 경피경간 담도경 검사란? 비수술적으로 경피경간 담도 배액관의 누공을 확장시킨 후 잔류 담석을 제거하는 담도계 질환의 검사법입니다. 경피경간 담관 조영검사(PTCS)는 폐색성 황달(obstructive jaundice) 환자의 폐색 부위와 폐색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확장된 담관을 시바 침(Chiba needle)으로 직접 천자하여 투시 하에 조영제을 주입하여 그 원인을 찾는 검사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담즙을 감황시키기 위해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과 같이 시행되는 수술 전 최종 검사법입니다. 최근에는 초음파를 안내로 하는(sonoguided) PTC과정이 이용되기도 합니다. 투시상을 이용하는 데는 양면 투시(b.. 2020. 5. 9.
췌담관 합류 이상(AUPBD)이란 무엇일까 췌담관 합류 이상 (AUPBD, 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 췌담관 합류 이상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의 하나로, 췌관과 담관이 십이지 장벽 밖에서 합류하여 긴 공통관을 형성함으로 합류부에 오디괄약근이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췌액의 담도 내 역류가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췌관 내압이 담도 내압보다 높아도 오디괄약근에 의해 췌액의 담도 내 역류가 방지되는데 비해, 합류 이상에서는 오디괄약근의 작용이 미치지 않아 췌액이 담도 내로 지속적으로 역류함으로써, 담도 내에 만성 염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점막의 파괴, 섬유화가 초래되며 이것이 결국 담도 내압의 상승을 초래하여 담도의 낭종성 확장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이로 인해 담석.. 2020. 5. 8.
총담관낭이란 무엇일까 총담관 낭 choledochal cyst 간의 담관 또는 간내 담관이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풍선처럼 확장되는 질환입니다. 총담관 남은 태어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아 및 동양인에서 더 흔하며 약 60~70%가 소아에서 발견됩니다. 종양, 결석, 염증 등에 의하여 담관이 막힌 후 그 윗부분이 이차적으로 늘어나 경우는 총담관 낭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총담관 낭은 현재 5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1형은 가장 많은 경우로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담관이 낭성 또는 방추형으로 확장이 일어나는 것으로서 간내 담관은 확장되지 않습니다. • 2형은 십이지장 위쪽으로 게실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 3형은 십이지장 안쪽으로 생기는 총담관류( choledochoceie).. 2020.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