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I] 소화기내과65

위수술의 종류 ( Billroth I, Billroth II, Roux-en- Y)에 대해 알아보기 위수술의 종류 Billroth I ( 위 십이지장 문합술) 1. 정의 위아전절제술을 한 후 남아있는 하부 위와 십이지장을 문 합하는 재건술입니다. 음식물의 통과 경로는 식도를 거쳐 위-> 십이지장-> 소장의 순서로 수술 전과 동일합니다. Billroth 1형은 위암, 유문괄약근의 기능 상실, 위폐 색에서 주로 수술을 시행합니다. 위 하부에는 gastrin을 분비하는 G-cell이 있어 위산 생성의 강력한 자극제 분비 부위를 제거하여 소화성 궤양 치료에 자주 이용됩니다. 2. 장점 Billroth 1형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수술 방법에 비해 위를 많이 남기기 때문에 식사량의 증가가 용이한 편이고 환자가 편한 경향을 보입니다. 생리적인 음식물의 경로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광범위한 위절제와 림프절.. 2020. 6. 8.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에 대해 알아보기 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조기암 또는 선종과 같은 소화관의 점막 또는 점막하 병변을 개복수술 없이 내시경과 부속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위암이 점막층에 국한되어 있고, 융기형에서는 병변의 크기가 2cm 이하, 함몰형에서는 병변의 크기가 1cm 이하인 경우, 그리고 분화형이 좋은 조직형을 보이는 조기 위암은 암이 림프절에 전이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가 일반적인 내시경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병변의 깊이가 내시경 절제로 완전절제가 가능한 범위 내에 국한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를 미리 판가름하기 위해서 치료 전에 전산화 단층 촬영.. 2020. 6. 1.
점막하 종양(SMT)이란 무엇일까 점막하 종양(SMT, submucosal tumor) 1. 정의 위 점막에서 자라는 종양이 아니라 위의 점막하(submucosa)나, 근육층(muscle layer)에서 자라는 종양. 2. 진단 SMT는 크기가 아주 크지 않는 한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위내시경을 시행하다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약 0.4%의 위내시경 환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점막하 종양은 엄밀히 말하면 정확한 진단명은 아니며, 종양의 조직학적인 특징에 따라 정확한 진단이 부여되고, 진단의 여부에 따라 치료 방침도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위 점막하 종양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조직 양상에 따라 악성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요구됩니다. 내시경 검사에서 SMT가 발견되면, EU.. 2020. 5. 27.
용종 절제술( Polypectomy)에 대해 알아보기 용종 절제술(Polypectomy) 1. 용종 절제의 필요성 대장 용종은 대장에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그 자체는 해롭지 않지만 방치하면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장암의 80% 이상은 전암성 병변인 선종성 용종으로 시작하여 5-10년간 선종-선암의 과정을 거쳐 발생하므로,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를 통한 선종성 용종의 적절한 발견 및 제거가 필요합니다. 용종의 조기진단과 전암성 병변인 용종의 제거는 대장암 및 직장암의 발병률,이환율,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있어 대장내시경을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적응증 • 양성의 국소적 융기성 점막 병변 • Bx는 양성이나 육안적으고 악성으로 의심되는 경우 • 육안적으로 판별이 되지 않는 점막하 종양 • 절단면이 1.5~2c.. 2020. 5. 26.
용종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용종의 종류 1. 용종이란 용종이란 점막 표면으로부터 장관 내강으로 돌출된 경계가 선명한 비정상적인 융기 즉, 돌출된 병소를 말합니다. 용종은 성인의 3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크기가 1-2mm부터 10cm 이상까지로 다양하며 단일 병소 혹은 다발성으로 발견됩니다. 용종은 대부분 대장, 직장에 걸쳐 발생하나 특히 좌측 대장, S결장, 직장에서 더 흔히 발견됩니다. 형태학적으로 줄기(경)의 유무에 따라 유경성 및 무경성으로 분류하고, 병리학적으로 과형성성 용종, 선종성 용종과 비 신생물성 과오종으로 분류합니다. 2. 용종의 분류 - 용종의 Yamada분류 가장 기본적인 분류법으로 용종 단면상의 형태에 따라 분류합니다. 1형: 융기의 기시부가 매끄럽고, 명확한 경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2형:.. 2020. 5. 25.